David's Dos Game Library

English

Tip


OS X86 시스템에서 com.apple.Boot.plist 는 시스템 부트에 필요한 다양한  옵션을 정의하는 환경설정 파일로 확장자 plist는 property list의 약자이다.
 
레퍼드 및 스노우 레퍼드 버전까지 사용하던 com.apple.Boot.plist 는 최근 OS X 10.7 Lion 이상 지원 카멜레온 부트로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org.chameleon.Boot.plist 로 변경되었다.  부트 로더에 따라 아래 옵션외에도 신규로 추가 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부트 옵션에 포함된 EFI String 값으로 비디오카드(VGA)등을 인식시킬 수 있다
 
주의1)  대소문자 구분에 주의, 만약 키 값 "H" 를 "h"와 같이 소문자 표현시 적용안됨.
 
주의2) 붙여쓰기 및 띄어쓰기에 주의.
 
1. 부트 파티션과 디스크 정의

[부팅 파티션 정의]
 
 멀티OS를 운영중이라면 최신 카멜레온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디폴트 부트 파티션을 지정할 수 있다.
 
 <key>Default Partition</key>   
 <string>hd(x,y)</string>
 
hd(x,y) 에서 x는 디스크 순번 이고 y는 파티션 순번 이다. 디스크 순번은 0,1,2 … 이지만 파티션은 1,2,3… 으로 표시된다. 만약 확인이 필요하다면 터미널에서 "diskutil list" 명령어로 확인하거나  "응용프로그램 -> 유틸리티 ->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 후 해당 파티션을 선택하여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정보"를 확인한다.

<팁: 디스크의 순서와 상관없이 부트로더가 설치되어 부팅이 시작되는 디스크 번호는 무조건 "0" 번 이고, 만약  부팅과 OS X 가 설치된 디스크가 분리되어 있다면  OS X 설치 디스크는 무조건 디스크 번호가 1번에 해당되고  파티션 번호는 1,2 로 시작이 된다.>  

[파티션 감추기]
 
부트 메뉴에서 특정 파티션 정보를 보이지 않도록 합니다.
 
 <key>Hide Partition</key>        
 <string>hd(x,y)</string>

여러개의 파티션을 부트로더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적용합니다.
 
 <string>hd(x1,y1)(x2,y2)(x3,y3)</string>

 멀티 디스크/파티션을를 운영중이라면 부팅 디스크/파티션을 지정하거나 *<IODeviceTree path> 를 지정할 수 있다.
 
  diskXsY 에서 X는 하드드라이브 번호 이고 Y는 파티션 번호 이다.
 
  <key〉Kernel Flags〈/key〉
  <string〉rd=diskXsY〈/string〉또는 <string〉rd=*/PCI0@0/CHN0@0/@0:1〈/string〉
 
  플래그를 개별 또는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 mach_kernel rd=disk0s1 -v "Graphics Mode"="1920x1200x32" 〈/string〉

[파티션 선택 메뉴 강제 표시]
 
파티션 선택 메뉴를 강제로 출력합니다.
 
 <key>Instant Menu</key>
 <string>Yes</string>
 
[부트로더 시간(초)설정]
 
디폴트 파티션을 수동으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boot: 프럼프트가 설정된 시간동안 대기상태에 머물렀다가 부팅하도록 정의 합니다. 
 
 <key>Timeout</key>
 <string>5</string>
 
 위의 옵션이 자동이라면 커널로드가 시작 되기전에 무조건 Key 입력 프럼프트를 기다리도록 합니다.
 
  <key>Wait</key>
  <string>Yes</string>
 
[무조건 빠른부팅]
 파티션 선택 메뉴가 나타나지 않도록 부트로더 대기시간을  무시하고 자동 부팅합니다.
 
  No 로 설정할 경우에는 부팅 메뉴를 선택해야 합니다. "wait" 와 유사한 설정입니다.
 
 <key>Quiet Boot</key>
 <string>Yes</string> 또는 <string>No</string>

2. 부팅 커널
듀얼코아 프로세서 이상를 사용할 경우에는 Default(기본) 커널인 mach_kernel로 부팅되며,  AMD,Pentium 프로세서의 경우 Voodoo kernel, Chocolate Kernel, Legacy Kernel 등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해당 커널은 반드시 "/" 루트에 존재하여야 한다.
 
 <key>kernel</key>
 <string>mach_kernel</string>
 
3. 커널 옵션
 

 [부팅모드]
  -v 는 부팅과정을 디버그 모드로 출력하므로 사과마크는 볼 수 없으나, 커널패닉 및 에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f 는 Caches를 무시하고 부팅되며 /S/L/E 장치드라이버(kext)을 전체를 강제로 로드시킨다.
 
  -F 는 configuration file에 지정된 커널 플래그를 무시하고 부팅한다.
 
  -x 는 안전모드로 부팅되며,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부팅하는 윈도우의 안전모드와 같다.
  -s 는 싱글모드로 부팅되며, 커맨드 창으로 진입한다.

   플래그는 개별 또는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v -f</string>
 
   ** 부트 옵션에 설정값을 무조건 우선하므로, 부트 메뉴에서 입력하는 옵션값은 추가(플러스)  되는 원리이다.
 
        만약 모든 옵션을 무시하고 새로운 부트 옵션을 추가하고자 한다면 "-F(대문자) -f -v -x" 형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DSDT 지정]
 
DSDT.aml 파일의 이름이나 위치를 별도로 지정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key〉Kernel Flags〈/key〉  
 
<string>경로와 파일명 형식</string>
 
<string>/Extra/DSDT.aml</string>
 

만약 부트 옵션을 인스탄트로 변경하면서 부팅을 시도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설정 형식은 디스크 번호와 파티션 번호 + 경로와 파일명입니다.

 Boot: DSDT=hd(0,x)/Extra/DSDT_Test01.aml
 
정상적으로 DSDT가 적용되었을 경우 부트로그의 메세지는
 
Loading Darwin 10.x
 
Lodding......생략.......
 
Loading HFS+ file: [ hd(0,x)/Extra/DSDT_Test01.aml ]    12345 bytes.

[특정 플랫폼 지정]
  바이오스에서 인텔PC로 인식하지 못할때 강제로 플랫폼을 지정할 수 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platform=X86PC〈/string〉 또는 〈string〉platform=ACPI〈/string〉

[CPU 강제 지정]
  듀얼코어 이상 프로세서중 싱글코어로 동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idlehalt=0〈/string〉 또는 〈string〉cpus=1〈/string〉
 

 i3, i5, i7 프로세서의 경우 "Busratio=?" 지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busratio=20〈/string〉

cpu_busratio.jpg

[아키텍쳐]
 
  부팅 커널의 아키텍처를 정의할 수 있다. x86_64는 64비트, i386은 32비트 부팅을 의미한다.
 
  <key>Kernel Flags</key>
  <string>arch=x86_64</string> 또는 <string>arch=i386</string>

[잠자기 관련 이슈]
 
잠에서 깨울때 한방에 안 일어나고 두세~번 반응을 줘야 정신차린 다면 ....한번쯤 적용해 볼 수 있다.
 
<key>Kernel Flags</key>
 <string>darkwake=0</string>  또는 <string>darkwake=1</string>

4. 사과마크 로고와 움직이는 부팅 아이콘 
 사과마크 로고와 하단에는 부팅상태를 나타내는 회전 아이콘을 설정할 경우

 <key>Boot Graphics</key>
   <string>Yes</string>

5. GUI 설정
 
   카멜레온 부트메뉴 화면이 기본적으로 그래픽상태로 보여주도록 되어 있으나 텍스트 화면으로 설정할 경우
 
   <key>GUI</key>
 
 <string>No</string>

   만약 특별히 GUI 설정없이 텍스트 화면으로 부팅이 될 경우에는 강제 enable 시키도록 한다. 

  <key>GUI</key>
 
 <string>yes</string>

6. 부트 배너 버전 표시
 
   GUI 모드작동시 부트 배너(버전정보)를 노출 하도록  되어 있으나(디폴트는 enable) 표시 하지 않도록 설정할 경우
 
   <key>Boot Banner</key>
 <string>No</string>
 
  최신 케멜레온 버전 표시 옵션값
 
   <key>Showinfo</key>
 <string>Yes</string>

7. 회색 애플로고 표시
 
   GUI 모드작동시 회색 애플로고 표시를 합니다. 디폴트는 disable 이다.
 
   <key>Legacy Logo</key>
   <string>Yes</string>

8. 그래픽 카드,사운드 카드 등 슬롯옵션
 
  PciRoot 를 지정하거나 변경합니다. 디폴트는 "value 0" 부터 검색하나 미 인식시 "value 1" 로 변경함
 
  <key>PciRoot</key>  또는 <key>PCIRootUID</key> 
 
  <string>1</string>  
 

9. 부팅 해상도
 지원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미지정시 1024x768 입니다. @xx 는  Hz 주파수를 의미한다.
 
  <key>Graphics Mode</key>
  <string>1024x768x32@70</string>

10. Graphics 카드 인식
 
그래픽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은 EFI 스트링 값을 아래와 같이 지정하는 방법과 부트로더 버전에 따라 자동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key>device-properties</key>
 
 <string>GFX 스티링값</string> 

  Gfx 카드의 디바이스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합니다.
 
   <key>GraphicsEnabler</key>              "붙여쓰기에 주의"
   <string>Yes</string>

 ATI Rom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GE=Yes 옵션과 함께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key>UseAtiROM</key>
 <string>Yes</string>
 
 <key>VideoROM</key>                 /// 최신 카멜레온 부트로더 사용시 이 옵션설정이 없어도 /Extra 폴더에 롬파일이 있으면 정상 로딩
 
 <string>Vendor ID_Device ID_Subsystem ID + Subsystem Vendor ID.rom</string>

 Nvidia Rom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GE=Yes 옵션과  함께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key>UseNvidiaROM</key>
 
 <string>Yes</string>
 
 <key>VideoROM</key>                /// 최신 카멜레온 부트로더 사용시 이 옵션설정이 없어도 /Extra 폴더에 롬파일이 있으면 정상 로딩
 
 <string>Vendor ID_Device ID.rom</string>
 

 Nvidia  디바이스 정보를 인젝트할 경우 사용합니다.

 <key>VBIOS</key>
 <string>Yes or No</string>

 Cameleon 1950 부트로더 부터 추가된 기능으로 Nvidia 디바이스의 HDMI 오디오 포트를 인젝트할 경우 사용합니다.
 
 <key>EnableHDMIAudio</key>
 <string>Yes or No</string>
 

11. 내장 이더넷(Ethernet) 
 
 유선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시스템의 내장(Built-In)포트로 인식하도록 하여 앱스토어 및 클라우드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해당 옵션 적용
 
 <key>EthernetBuiltIn</key>              " 붙여쓰기에 주의"
 <string>Yes or No</string>

12. USB 포트
 
 대부분 USB 메모리와 관련하여 "EBIOS Read Error" 에러 메세지가 나올 경우에 해당 기능을 적용하면 된다.

  USBBusFix=Yes                         아래 모든 기능을 한방에 활성화 시킨다.
  <key>USBBusFix</key>
  <string>Yes</string>

 EHCIacquire=Yes                         USB 2.0 EHCI fix를 활성화 한다. (기본값은 미사용이다)

 <key>USBBusFix</key>
 <string>Yes</string>

 UHCIreset=Yes                            USB 1.0 UHCI fix를 활성화 한다. (기본값은 미사용이다)
 <key> UHCIreset</key>
 <string>Yes</string>

 USBLegacyOff=Yes                      USB Legacy fix를 활성화 한다. (기본값은 미사용이다).
 <key>USBLegacyOff</key>
 <string>Yes</string>

13.HPET
 
  ForceHPET=Yes|No                         HPET 모드를 강제로 사용하도록 한다.
  <key>ForceHPET</key>
  <string>Yes or No</string>

14. 잠자기(Wake) 옵션

   Wake=No                                      하이버네이션 사용 후 깨우기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기본값은 사용 이다.).
   <key>Wake</key>
  <string>No</string>

  ForceWake=Yes                               슬립이미지를 강제로 사용한다. (기본값은 미사용이다).
   <key>ForceWake</key>
   <string>Yes</string>

  WakeImage=<file>                         슬립이미지 파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key>WakeImage</key>
   <string>경로와 파일명</string>
  (default path is /private/var/vm/sleepimage).

15. 시스템 정보 정의
 
    SMBIOS.plist 파일의 위치를 별도로 지정
   <key>SMBIOS</key>
   <string>경로와 파일명</string>
    (default path: /Extra/SMBIOS.plist bt(0,0)/Extra/SMBIOS.plist).
 
   SMBIOSdefaults=No                    Don't use the Default values for SMBIOS overriding
    <key>SMBIOSdefaults</key>
    <string>No</string>

 16. Drive Scan
 
    Scan Single Drive=Yes | No          Scan the drive only where the booter got loaded from.
                                                       Fix rescan pbs when using a DVD reader in AHCI mode.
    <key>Scan Single Drive</key>
     <string>Yes or No</string>

   Rescan=Yes                                   Enable CD-ROM rescan mode.
     <key>Rescan</key>
    <string>Yes</string>

   Rescan Prompt=Yes                        Prompts for enable CD-ROM rescan mode.
 
    <key>Rescan Prompt</key>
     <string>Yes</string>

    *** Special booter hotkeys:
 
  F5            : 광학 드라이브를 재탐색함
  F10          : 억세스 가능한 모든 드라이브를 탐색하고 목록을 보여줌 

17. 시스템 고유값 설정  
 
   SystemId=<UUID>                        Set manually the system id UUID, 
 
                                                       SMUUID in smbios config (reserved field) isn't used.

   <key>SystemId</key>
   <string> "UUID" </string>
 

  SystemType=<n>                        Set the system type where n is between 0..6
   (default =1 (Desktop)
     md0=<file>                              Load raw img file into memory for use as XNU's md0
     ramdisk.
 
                                                        /Extra/Postboot.img is used otherwise.
 
 
 
18. 테마(Theme) 선택
 
 부트로더 테마파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Extra/Theme/폴더명(예: Legacy)" 을 선택한다.   
 
  <key>Theme</key>
 
  <string>폴더명</string>

19. 종료(셧다운)시 리부팅 현상 해결

<key>Restart Fix</key>
<string>Yes</string>
 
20. 스피드 스텝 코드(SSDT)
 
  바이오스 ACPI 테이블을 로딩하는 동안 DSDT의 스피드 스텝 코드를 무시하고 SSDT.aml.....SSDT-?.aml 을 사용하도록 함
  만약 이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Extra  디폴트 폴더에 SSDT 파일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로딩될 수 있다.
 
  <key>DropSSDT</key>
   <string>Yes</string>
 

 아래와 같이 정의할 경우에는 스피드스텝에 관련된 부트옵션을 강제한 경우이다.

 CPU 절전모드를 조절하는 스피드 스텝에 대한 설정으로  CPU 전력을  C0~Cn 까지 정의된 동작에 맞추도록 활성화
 
 OS가 프로세서를 Idle 슬립 상태(C-States)로 자동조절
 
  <key>GenerateCStates</key>
  <string>Yes</string>

CPU 절전모드를 조절하는 스피드 스텝에 대한 설정으로  CPU 전압을  P0~Pn 까지 정의된 동작에 맞추도록 활성화
 
OS가 프로세서를 파워 성능 상태(P-States)로 자동조절

  <key>GeneratePStates</key>
  <string>Yes</string>

 새로운 C-State _CST 를 발생시켜 FixedHW 대신에 시스템IO 레지시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

  <key>CSTUsingSystemIO</key>

  <string>Yes</string>

 CPU의 C2 절전기능을 활성화, 숫자가 높을수록 저전력 상태임
 
  <key>EnableC2State</key>
  <string>Yes</string>
 
  CPU의 C3 절전기능을 활성화
 
  <key>EnableC3State</key>
  <string>Yes</string>

 
  CPU의 C4 절전기능을 활성화
   <key>EnableC4State</key>
   <string>Yes</string>

cpu_states.png

21. 부팅 속도 향상을 위한 커널캐쉬
 
OS X 10.7 Lion 이상부터 사용가능한 옵션으로 /S/L/E 폴더(E/E폴더 켁스트는 /S/L/E 로 이동하여야 함)의 로딩 가능한 켁스트를 /System/Library/Caches/com.apple.kext.caches/Startup/ 폴더에 캐시로 만들어 사용한다.

<key>UseKernelCache</key>
<string>Yes</string>

** 커널캐시가 설정된 상태에서 /S/L/E 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권한복구를 잊어버렸다면 다음 부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v -f" 옵션을 사용하여 원인을 분석하세요.
 
특히 커널 캐시는 /Extra/Extensions 폴더와 /System/Library/Extensions/ 폴더를 회피하여.....
 
 /System/Library/Caches/com.apple.kext.caches/Startup 의 커널캐시를 바로 읽고 로딩하므로 부팅시간이 훨씬 단축되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Views :
6529
Registered Date :
2016.06.17
15:54:51 (*.82.136.57)
Trackback :
Article URL :
http://dosgame.yyartsworld.pe.kr/tip/32175
Attach Images or Files

Drop your files here, or click the button to the left.

Maximum File Size : 0MB (Allowed extentsions : *.*)

0 file(s) attached ( / )
Option :
:
:
:
: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97 OpenCore 시스템 무결성 끄기 관리자 Mar 8, 2025 13
96 XTIDE Performance BIOS Setup file 관리자 Feb 2, 2025 47
95 Ryujinx와 Yuzu간 세이브데이터 이동 관리자 Jan 21, 2025 501
94 Yuzu Portable로 실행하기 관리자 Jan 21, 2025 47
93 윈도우 XP 사운드카드 없이 CD 재생하기 관리자 Dec 22, 2024 37
92 386DX 40Mhz BIOS Setting file 관리자 Dec 22, 2024 39
91 Ryujinx 저장데이터 위치 portable로 사용하기 관리자 Nov 1, 2024 351
90 백업 및 복원(Windows 7) 할때 0x81000019 에러가 나온다면 관리자 Oct 25, 2024 420
89 Windows 11 24H2 강제 업데이트 관리자 Oct 20, 2024 126
88 Windows98 How To Disable ACPI 관리자 Jul 16, 2024 519
87 EFI 파티션 삭제 관리자 Mar 29, 2024 630
86 WindowsXP netplwiz 관리자 Aug 31, 2023 3708
85 키보드 종류 변경 레지스트리 Shift+Space 한영전환 file 관리자 Aug 17, 2023 203
84 Wake on Lan - Shutdown 관리자 Jul 23, 2023 221
83 컨텍스트 메뉴에 Open with Notepad 추가하기 관리자 Mar 1, 2023 2115
82 윈도우11 조이스틱 설정 관리자 Jan 17, 2023 1819
81 VMware TPM 2.0 enable 하기 관리자 Nov 13, 2022 433
80 고급부팅옵션으로 들어가기 관리자 Jul 31, 2022 384
79 원격데스크톱 파일 복사 디스크 접근 금지하기 관리자 Jul 31, 2022 798
78 라이젠 시스템에서 VMware로 Windows98 돌리기 관리자 Apr 15, 2022 845